<p></p><br /><br />그렇지만, 아직 승부를 단정 짓긴 어렵습니다. <br> <br>여론을 보면, 여전히 정권교체 여론이 더 높은 조사가 많고, 여당 지지층은 이미 결집이 뚜렷한 반면, 보수 진영은 아직 결집하지 않고 있는데요. <br> <br>남은 65일의 승부처, 이현수 기자 보도 보시고, 상승세인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의 인터뷰 전해드리겠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새해에 발표된 12개 여론조사 가운데 차기 대선의 성격이 정권재창출인지 정권교체인지를 질문한 10곳의 결과를 살펴봤습니다. <br> <br>동아일보 등 세 곳에서는 오차범위 내에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. <br> <br>7곳은 여전히 정권교체를 위해 야권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> <br>세부항목별 여론을 살펴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지층 결집 현상이 뚜렷했습니다. <br><br>호남지역의 경우 동아일보 여론조사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70% 이상 지지를 얻었고 오늘 발표된 5개 조사 모두 50%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<br>진보층에서도 이재명 후보로의 결집이 두드러졌습니다. <br> <br>반면 보수진영의 결집도는 약했습니다. <br><br>보수세가 강한 것으로 불리는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이 후보를 오차범위 이상으로 앞섰지만 한 곳을 제외한 4곳의 조사에서는 50%를 넘지 못했습니다.<br><br>부산경남 PK 지역에서는 이재명 후보, 윤석열 후보가 일부 접전 양상을 보였습니다.<br><br>대선 승부처로 불리는 서울지역의 경우 오늘 발표된 5곳 조사 모두 오차범위 내 혼전 양상입니다. <br> <br>[배종찬 / 인사이트K 연구소장] <br>"서울, 충청, PK 지역은 변동성 있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고, 여전히 정권교체 여론이 높기 때문에 남아있는 기간동안 보수층이 재결집할 가능성은 열려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“ <br><br>보수층의 결집 여부가 향후 지지율 변화에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.